2 minute read

2022.05.02

JavaScript [ Algorithm ]

👨🏻‍💻 백준 2884번 알람시계 문제

상근이는 매일 아침 알람을 듣고 일어난다. 알람을 듣고 바로 일어나면 다행이겠지만, 항상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 때문에 매일 학교를 지각하고 있다.  
상근이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보았지만, 조금만 더 자려는 마음은 그 어떤 것도 없앨 수가 없었다.  
이런 상근이를 불쌍하게 보던, 창영이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바로 “45분 일찍 알람 설정하기”이다. 이 방법은 단순하다. 원래 설정되어 있는 알람을 45분 앞서는 시간으로 바꾸는 것이다.  
어차피 알람 소리를 들으면, 알람을 끄고 조금 더 잘 것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매일 아침 더 잤다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학교도 지각하지 않게 된다.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알람 시각이 주어졌을 때, 창영이의 방법을 사용한다면, 이를 언제로 고쳐야 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 첫째 줄에 두 정수 H와 M이 주어진다. (0 ≤ H ≤ 23, 0 ≤ M ≤ 59) 그리고 이것은 현재 상근이가 설정한 놓은 알람 시간 H시 M분을 의미한다.
> 출력 : 입력 시간은 24시간 표현을 사용한다. 24시간 표현에서 하루의 시작은 0:0(자정)이고, 끝은 23:59(다음날 자정 1분 전)이다. 시간을 나타낼 때, 불필요한 0은 사용하지 않는다.

👨🏻‍💻 내 문제풀이

> 프로그램 : Javascript
>> Code : 
일단 기본적으로 모든 시간을 출력하는 코드를 먼저 작성해보았다. 
for (let  hour = 0; hour < 24; hour++){
	for (let  time = 0; time < 60; time++)
	console.log(`현재시각은 ${hour}${time}분 입니다.`)
}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모든 0 00 부터 23 59분까지 모든 시간이 출력된다. 

---------------------
하지만 모든 시간을 출력하는 함수를 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한다. 

>> Code: 
내가 생각한 방법은 우선 prompt()  이용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알람 시각을 입력받았다. 
그리고 45  일찍 일어날  있는 알람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시간을 > 분으로 바꾸고 
-45   이를 60으로 나누어 다시 분을 > 시간으로 환산하는 방법을 사용해보았다. 

const  alramH = Number(prompt("알람을 몇시로 설정할까요?"))
const  alramM = Number(prompt("알람을 몇분으로 설정할까요?"))
console.log(((alramH * 60 + alramM)-45)/60) // 이것을 계산하면  몫 : 시간이 환산된다.
console.log(((alramH * 60 + alramM)-45)%60) // 이것을 계산하면 나머지 : 분이 환산된다.
const  sehoonalramH = parseInt(((alramH * 60 + alramM)-45)/60)
const  sehoonalramM = ((alramH * 60 + alramM)-45)%60

console.log(`지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람을 45분 일찍 설정합니다.
알람은 ${sehoonalramH}${sehoonalramM}분으로 설정되었습니다.`)

내가 prompt()  전달받은 숫자는 문자열이기 때문에 Number()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숫자열로 변환해주었고 몫은 정수만을 추출하기 위해 parseInt() 활용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내가 원하는 값을 받아낼  있었다. 
 

😂 결론 및 아쉬운 점

상근이는 매일 아침에 일어나기 때문에 밤 12시 ~ 새벽 사이에는 알람을 맞출 일이 없을 것이다. 
내가 이말을 한 이유는 모든 입력값에 성공적인 결과값을 도출해내었지만 시간 0시로 설정했을 경우 
전 날 23시로 설정이 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되지 않았다. 시간을 너무 문자열로만 정해놓았는 지도 모른다. 
이부분을 좀 더 신경써서 공부를 해봐야겠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