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Stack & Queue
2023.01.12
💡 자료구조 & 알고리즘
자료구조?
자료구조란 여러 데이터의 묶음을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것이다.
자료구조의 분류.
자료구조를 분류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자주 등장하는 네가지 자료구조가 있다.
- Stack, Queue, Tree, Graph
자료구조의 특징
대부분의 자료구조는 특정한 상황에 놓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자료구조를 알아두면 어떤 상황이 닥쳤을 때 적합한 자료구조를 빠르고 정확하게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Stack?
Stack은 말 그대로 쌓다, 포개지다 라는 뜻과 같다. 데이터를 순서대로 쌓는 구조이다.
LIFO [ Last In First Out ] 즉 후입선출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예를 들면 프링글스를 생각하면 된다. 가장 먼저 들어가져 있는 감자칩을 가장 나중에 먹게되고 가장 나중에 넣은 감자칩을 소비자들은 가장 먼저 먹게 된다.
stack.push(데이터)
--------------------
1 <- 2 <- 3 <- 4
--------------------
stack.pop()
--------------------
4, 3, 2, 1
이런한 특성으로 스택 구조는 조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해당 자료구조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프로세스가 매우 빠르며 최상위 블록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인 실사용 예제
뒤로가기 앞으로가기
브라우저에서 자료구조 Stack이 사용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거칩니다.
1. 새로운 페이지로 접속할 때, 현재 페이지를 Prev Stack에 보관한다.
2. 뒤로가기 버튼을 눌러 이전 페이지로 돌아갈 때는, 현재 페이지를 Next Stack에 보관하고 Prev Stack에 가장 나중에 보관된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로 가져온다.
3. 앞으로가기 버튼을 눌러 앞서 방문한 페이지로 이동을 원할 때는, Next Stack의 가장 마지막으로 보관된 페이지를 가져온다.
4. 마지막으로 현재 페이지를 Prev Stack에 보관한다.
이와 관련된 코드는 이후에 코플릿에서 문제로 다룬다
🧻 Queue?
Queue는 줄을 서서 기다리다, 대기행렬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LILO [ Last In Last Out ] , FIFO [ First In First Out ] 즉 우리가 흔히 아는 선입선출의 구조이다.
데이터 입출력 방향이 두개이며 데이터는 하나씩 넣고 뺄 수 있다.
Comments